아두이노(12)
-
아두이노, RGB 3색 LED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통클입니다.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2.02.14 - [아두이노] - 아두이노, 가변저항으로 LED 밝기조절하기(PWM사용) RGBLED란? RGB LED란 하나의 LED로 빛의 3 원색(R: 빨강, G: 녹색, B: 파랑)을 혼합하여 여러 가지 색의 빛을 표현할 수 있는 LED입니다. LED 핀이 4개나 되기 때문에 각각 어떤 핀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회로를 알맞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내가 쓰는 RGBLED타입이 Anode가 GND인지 Cathode가 GND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제가 설명드릴 RGBLED는 GND가 cathode인 ..
2022.10.04 -
아두이노, 풀업(pull-up) 저항, 풀다운(pull-down) 저항
안녕하세요.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중간중간 설명했던 풀업, 풀다운 저항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11.14 - [아두이노] - 아두이노 입문하기-3, 버튼으로 led 제어하기, 플루팅 현상이란? 2021.10.03 - [아두이노] - 아두이노, 버튼을 활용한 시리얼프린트 예제(풀다운 저항 설명) 1. 플루팅 현상이란? 풀업 저항과 풀다운 저항이 필요한 이유는 플루팅 현상 때문에 생기는 회로적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2. 풀업 저항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버튼을 눌렀을 때는 아두이노에 0이라는 데이터가 들어가지만 버튼을 ..
2022.03.03 -
아두이노, 가변저항으로 LED 밝기조절하기(PWM사용)
안녕하세요 통클입니다.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가변저항이란? 말그대로 회로 내에서 정해진 저항값이 아닌 임의로 저항값을 바꿀 수 있는 저항기입니다. 가변저항 구성 회로 가변저항은 아날로그 센서이기 때문에 아두이노와 연결할 때도 제어 핀을 디지털 핀이 아니라 아날로그 핀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5V와 GND의 위치를 바꿔 끼운다고 고장 나지 않습니다. 다만 아두이노로 신호 값을 확인할 때 값의 기준이 달라서 표현이 다르게 될 수는 있겠다는 생각은 드네요 가변저항의 가운데 핀이 아날로그 핀과 연결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코드로 간단하게 아두이노 스케치로 가변저항을..
2022.02.14 -
아두이노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온/습도 센서)
안녕하세요 통클입니다.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온/습도 센서 회로 온습도 센서를 아두이노 스케치 상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합니다. 라이브러리란 뭘까요? 2. 라이브러리 3. 외부 라이브러리 추가 구글에서 검색을 하거나 스케치 라이브러리를 모아놓은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4. 외부 라이브러리의 이해 외부라이브러리를 이해해보자면 하나의 음식점 메뉴판을 가져온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원래 없던 기능도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그 순간부터 메뉴판에 있는 모든 음식들을 주문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앞에서 말씀드린 Serial 함수와 동..
2021.12.21 -
아두이노, 버튼을 활용한 시리얼프린트 예제(풀다운 저항 설명)
안녕하세요 통클입니다.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0.11.14 - [아두이노] - 아두이노 입문하기-3, 버튼으로 led 제어하기, 플루팅 현상이란? 2020.12.24 - [아두이노] - 아두이노 입문하기 6 - 스케치 시리얼 통신 위 글을 보고 오시면 이번 포스팅 내용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1. 버튼 회뢰 구성과 코드 시리얼 함수를 단순히 스케치 내에 출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두이노 회로와 연동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로 버튼을 사용해 볼 건데요. 아래와 같이 버튼을 아두이노와 연결합니다. 버튼을 눌렀을 때 아두이노가 버튼의 값을 확인해서..
2021.10.03 -
아두이노 스케치, 자주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해당 포스팅은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케치에서 자주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의 종류에는 뭐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세미콜론 ; - 명령어 줄 끝에 세미콜론(;)을 빼먹은 경우입니다. 2. 중괄호의 짝이 맞지 않을 경우 - 중괄호의 짝이 맞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 {에 커서를 올려놓으면 짝이 어디 있는지 표시되므로 하나하나 확인해 봐야 합니다. 3. 포트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 케이블을 뽑았다가 다시 연결해본다. - 다시 업로드한다. - 포트를 확인한다. (만약 2개의 COM포트가 있으면 높은 숫자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아두이노 스..
202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