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지식/RF회로(17)
-
RF AMP GATE CONTROL(게이트 제어) - Gate Drive
1. 아날로그 디바이스 Gate Drive Application Unique Gate Drive Applications Enable Rapidly Switching On/Off for Your High Power Amplifier | Analog DevicesPeter Delos Peter Delos is a technical lead in the Aerospace and Defense Group at Analog Devices in Greensboro, North Carolina. He received his B.S.E.E. degree from Virginia Tech in 1990 and M.S.E.E. degree from NJIT in 2004. Peter has over 30 years of ..
2024.05.31 -
Isolator와 Circulator의 역할과 차이
최근에 하모닉과 관련된 씨름을 하면서 써큘레이터에 대해서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대략적인 내용 정리하고 공유드리려 합니다. CIRCULATOR와 ISOLATOR의 역할과 차이점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Isolator와 Circulator의 역할과 차이 1) Isolator(아이솔레이터) Isolator는 2 포트 장치로, RF신호를 단방향으로만 전달합니다. 이 장치는 입력 포트에서 출력 포트로만 전력이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어, 반대 방향의 전력이 되돌아오는 것을 막아 신호의 반사와 간섭을 줄입니다. 2) Circulator(써큘레이터) Circulator는 RF신호를 회전 방향으로만 전달하는 비대칭적인 3 포트 장치입니다. 안테나를 공유하여 송신 및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2021.12.16 -
[작업일지] Circulator와 송신기 hamonic 관계?
1. 문제 발견 송수신기를 설계하고 테스트하는 도중 송신 출력 쪽에서 2,3,4차 하모닉이 높게 발생하는 현상 발생 대략적인 블록도 인데 당연히 AMP 출력 쪽에서 발생하는 거라 생각해서 출력 쪽에 ISOLATION PAD를 붙이면서 하모닉 수치를 확인했다. 2. 비효율적인 업무 진행 하지만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 그래서 출력단 하나하나 끊어서 확인 중에 오히려 AMP와 LPF 바로 뒷단은 하모닉이 별로 안 커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그래서 하모닉이 비선형 소자에서 발생하는 거니 RF Switch에서 발생하는 거라 생각해서 스위치 후단을 확인해 봤다. 하지만 Switch 후단도 하모닉이 잘 나왔다. 결국 문제는 circulator 였다. 3. 원인 발견 항상 당연하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이번에도 당연히..
2021.11.29 -
RF AMP 구성 회로(Choke 인덕터, 바이패스 커패시터, dc블락 등)
RF AMP인 BGS4 Datesheet에 있는 작동 회로를 들고 왔습니다. amp 주변에 다양한 커패시터와 하나의 인덕터가 있죠.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역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특성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인덕터 - 고주파를 차단하고 저주파를 잘 통과시킨다.(급격한 변화를 싫어한다.) 커패시터 - 저주파를 차단하고 고주파를 잘 통과시킨다.(급격한 변화를 좋아한다.) 해당 특성은 아래 L과 C의 역할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특성이니 꼭 알아둡시다. L과 C의 역할 C1, C2 - Coupling capacitor: DC block C3, C4 - By pass capacitor: 전원으로부터 나오는 잡음을 잡아주는 역할 C5 - de-coupling ..
2021.07.29 -
ALC 또는 AGC란 무엇인가? 2편 - 작동방법
ALC에 대해서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전 글을 읽고 오시면 이번 포스팅을 이해하기 좀 더 수월합니다. 2020.09.01 - [직무지식/용어정리] - ALC 또는 AGC란 무엇인가? ALC 작동 방법 ALC를 설계하는데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IC는 Variable Attenuator와 Variable Gain Amp가 있습니다. 예시로 Variable Att은 PE시리즈(pe4312등)가 있고 Variable Gain Amp는 Berex에 BVA시리즈(BVA303등)가 있습니다. 입력 신호가 변하는 것에 맞춰서 ATT(또는 GAIN)을 가변 하면서 출력 LEVEL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죠. ALC가 작동이 되려면 증폭된 신호가 허용 출력 범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2021.03.18 -
pi-pad 사용법과 pad표(감쇠표)
50옴 매칭된 π-pad는 rf 회로에서 레벨 조정 역할을 하는 감쇠기(Attenuator)입니다. 1. pad표 ATT(dB) R1(Ω) R2(Ω) 1 5.6 910 2 12 430 3 18 300 4 24 220 5 30 180 6 36 150 7 43 130 8 51 120 9 62 100 10 75 100 11 82 82 12 100 82 13 110 82 14 110 68 15 130 68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한 값을 각각 reference 값으로 매칭시킨 표입니다. 급할 때 편하게 쓰려고 만들어 둔 건데 편하더라고요. 2. 사용 예시 사용 예시1 AMP를 사용했는데 출력이 높아서 AMP가 Saturation 된다면 (그래도 출력 마진이 남을 때는) 입력 신호를 낮추기 위해서 AMP 앞단에 ..
202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