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지식/RF회로(17)
-
[RF기초-5탄] Return Loss(반사손실)이란?
이전 시간에는 S파라미터와 반사 계수에 대해 배웠습니다. RF 신호는 임피던스 매칭이 맞지 않으면 반사가 생기기 때문에 임피던스 매칭이 중요하다고 했었죠. 2020/08/13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4탄] S파라미터와 반사계수 이번 시간에는 반사 계수를 이용한 RF 회로의 유의미한 측정값인 Return Loss(줄여서 RL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임피던스 매칭 이제 임피던스 매칭이 중요하다는 말을 귀가 닳도록 들었죠. 실제로 RF 회로에는 입력단, 부하단, 커넥터 등 대부분이 50Ω으로 매칭이 되어있습니다. 입력단(Source)과 부하단(Load)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완벽하게 되었다면 반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이상적인 상태입니다. 이렇게 그림과 같은..
2020.08.15 -
[RF기초-4탄] S파라미터와 반사계수
이전 시간에서 회로에서의 고주파의 특성을 알아봤었죠. 고주파의 경우 짧은 주기로 인해, 어떤 한 측정 지점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혹시 이 말이 무슨 말인지 이해되지 않는다면 이전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2020/08/10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1탄] 고주파와 저주파의 구분 기준은? 2020/08/10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2탄]고주파에서 R,L,C 해석 2020/08/11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3탄] SMD타입 소자 저항 읽기(R,L,C) 이번 시간에는 고주파에서 활용되는 측정 파라미터인 S파라미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RF에서 S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이유 고주파의 경우 짧은 주기로 인해서 어떤 한 측정 지점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전압(V)..
2020.08.13 -
[RF기초-3탄] SMD타입 소자 저항 읽기(R,L,C)
2탄에서는 칩 형태의 SMD소자가 생기고 사이즈가 줄어든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해보자면 1. PCB 제조 기술의 발달 → SMT방식 활성화 → SMD소자 사용 2. 고주파 회로에서 회로의 길이를 줄여야 함 → 소자의 길이 감소 이렇게 되겠죠. 혹시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이전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08/10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1탄] 고주파와 저주파의 구분 기준은? 2020/08/10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2탄]고주파에서 R,L,C 해석 오늘은 SMD형식의 소자들의 사이즈와 수치를 읽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단위 Inch → 기호는 in → 1inch = 1000 mil =2.54cm = 25.4mm → 1 mil ..
2020.08.11 -
[RF기초-2탄]고주파에서 R,L,C 소자특성
이전 시간에는 저주파와 고주파 회로의 기준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한번 더 복습해 보면 L은 회로의 길이, λ는 신호의 파장일 때 저주파 회로는 Lλ이며 특정 시간에 V와 I의 값을 정의할 수 없는 회로 라고 하였습니다. 확실하게 내용을 숙지하고 싶으시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0/08/10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1탄] 고주파와 저주파의 구분 기준은? 신호가 고주파로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저주파 회로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고주파 회로에서 생기는 다양한 이슈 중 하나인 R(저항), L(인덕터), C(커패시터)에 변천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전공이 전자공학과인데요. 위 소자들은 학부생때 회로 실습시간에 자주 쓰던 RLC소자들 입..
2020.08.10 -
[RF기초-1탄] 고주파와 저주파의 차이는?
RF 회로를 이해하고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회로이론과 전자회로이론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RF자체가 '무선'을 다루고 있고 실무에서 고주파 하드웨어 설계를 주로 하겠죠. 그렇다면, 고주파의 기준이 뭘까요? 일반적으로 300 MHz를 기준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나눕니다. 300 MHz 이하는 저주파, 이상은 고주파입니다. 300 MHz는 파장이 1m가 되는 지점이죠. 하드웨어 회로에서 나타나는 고주파의 특징이 일반 회로에서와 다른데 이번 시간에는 RF 회로에서의 고주파와 저주파의 특징과 구분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파수(frequency)란? 의미: 진동하는 물체가 단위 시간 동안 진동하는 횟수 단위: Hz(헤르츠) 1Hz는 1초 동안 물체가 1번 진동할 때를 의미한다. 1초에 1번 ..
202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