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지식/RF회로(17)
-
[업무일지]RS232 to LVTTL 변환하기(232핀맵)
모듈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모듈과 GUI를 연결해야 하는데 모듈은 TTL방식이고 노트북은RS232 통신이어서 변환 모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RS-232핀 맵 RS-232는 시리얼통신으로 주로 D-SUB 9핀 커넥터로 통신합니다. LVTTL Low Level Transistor Transistor의 줄임말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만든 디지털 로직 IC입니다. 대부분 +5V에서 작동 하지만 LVTTL은 3.3V에서 작동합니다. 핀 맵을 확인하고 GUI 커넥터는 연호 케이블이어서 D-SUB 9핀 커넥터 땜한 곳을 따서 연결했습니다. RX와 TX의 위치가 매칭이 되어야 통신이 되겠지요? 일단 GUI3핀에서 GND는 멀티미터로 확인을 했고 RX TX는 자리를 바꿔가며 통신이 되는지 확인을 했습니다. 결..
2020.11.18 -
RF시스템에서 MIXER(믹서)란?
이번 시간은 믹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할 믹서 파트 블록도는 아래에 있습니다. MIXER란? 믹서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이들을 곱하거나 합성하여 새로운 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입니다. 주로 주파수 변환, 신호 합성 및 복조 등의 작업에 사용되며, 무선 통신 시스템, 레이더 시스템,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물질의 비 선형성을 이용하여 입력된 두 주파수(f1, f2)의 합(f1+f2)과 차(f1-f2)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로, 헤테로다인 시스템에서 반송파(Carrier) 신호를 처리하기 쉬운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비선형 소자의 특성으로 인해 생기는 IMD 성분중 2승..
2020.10.19 -
AMP 효율개선 2 - ET(Envelope Tracking)
이전 시간에는 증폭기의 효율 개선을 위한 방법 CFR과 Doherty AMP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020/10/07 - [직무지식/RF 회로] - AMP 효율 개선 1 - CFR, Doherty AMP 그리고 서칭을 해보니 ET 시스템도 증폭기의 효율을 줄이는데 많이 사용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Envelope Tracking Syste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nvelope Tracking 이란? RF 신호의 Amplitude를 추적한 뒤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여 증폭기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통신방식이 진화됨에 따라 PAPR이 높아지게 되고 그로 인한 효율 감소를 막고자 개발되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PAPR 수치가 가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Peak 신..
2020.10.08 -
AMP 효율개선1 - CFR, Doherty AMP
이전 시간에는 AMP의 선형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아래 글들을 읽고 오신다면 AMP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2020/09/19 - [직무지식/중계기] - [중계기 구성] AMP란? - LNA, System NF 2020/10/05 - [직무지식/RF 회로] - [중계기 구성] AMP 선형화 방법 - Back Off, LPA, Pre-Distortion(APD, DPD) 이번 시간에는 AMP의 중요한 또 다른 특징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력 효율(Power Efficiency)이란? 주로 대전력을 다루는 송신단의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의 성능 지표로 사용됩니다. 입력된 전력이 실제 목표 (신호처리, 증폭 등)에 얼마나 사용되었느냐를 나타냅니다. ..
2020.10.07 -
AMP 선형화 방법 - Back Off, LPA, Pre-Distortion(APD, DPD)
이전 시간에 AMP와 LNA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2020/09/19 - [직무지식/중계기] - [중계기 구성] AMP란? - LNA, System NF 그리고 뒤에는 AMP의 선형성과 효율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었죠. 이번 시간에는 AMP의 선형성과 선형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형성이란? AMP, Mixer 등등에서 나타나는 비이상적 특성입니다. harmonic, IM3등이 비선형성의 원인이며 이러한 것들을 잡아야 선형성이 좋아집니다. 선형화 방법 1. Back Off back off방식은 AMP 고유의 P1dB보다 3~5dB 낮은 지점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HPA(High Power Amplifier ; 대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이죠. 쉽게 표현해서 요구하는 전력보다 큰 증폭기..
2020.10.05 -
[RF기초-6탄] VSWR(정재파비)란?
저번 시간에는 S파라미터와 S11, S22에 유의미한 측정값 중에 하나인 RL(리턴 로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리턴 로스는 반사 계수를 전력의 log scale(dB)로 변환한 값이며 '입력 전력 - 반사 전력'을 의미하기도 했죠. 이전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0/08/13 - [직무지식/RF회로] - [RF기초-4탄] S파라미터와 반사 계수 2020/08/15 - [직무지식/RF 회로] - [RF기초-5탄] Return Loss(반사손실)이란? 이번 시간에는 VSW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VSWR은 RF모듈이나 소자에서 중요한 스펙인데요.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VSWR은 Voltage Standig Wave Ratio의 줄임말인데요. 한글로 풀어쓰면 전압 정재파 비라는 ..
202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