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지식/Datasheet 읽기(4)
-
SPDT RF SWITCH 분석(CMD196C3 데이터시트 읽기)
RF SPDT SWITCH 분석하기 SPDT RF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우저에서 검색해서 눈에 보이는 아무거나 가져왔습니다. QORVO꺼네요. 데이터 시트는 구글에 검색해보셔도 되고 아래에 편하게 볼 수 있도록 올려놓겠습니다. 데이터시트 읽기 우선은 기본적인 특성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DC~18 GHz면 주파수 범위는 굉장히 넓은 편이군요. 제가 사용하고 싶은 주파수 대역은 6 GHz 대역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대표적으로 확인할 건 삽입 손실과 아이솔레이션인데 정확하게 6 GHz 대역에서는 어떤지부터 확인해야겠죠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아래에 주파수 범위별 특성을 적은 표와 그래프를 확인하는 겁니다. 표와 그래프 둘 다 보면 좋겠죠. 6 GHz일 때 Insertion Loss는 1.5dB,..
2022.12.01 -
RF CIRCULATOR 삽입손실, 아이솔레이션 측정(Network Analyzer사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써큘레이터 단품 특성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측정할 텐데 그림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측정 준비 준비물: 측정할 써큘레이터, 50옴 종단 터미네이션(term),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 1. 써큘레이터(구글에 검색해서 임의의 이미지를 가져왔습니다.) 2. 50옴 종단 터미네이션 3.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 우선 네트워크 분석기를 초기 세팅해 줍니다. - 원하는 측정 대역의 주파수를 정한다. (ex. 3.2㎓ ~ 3.4㎓) - 2 port calabation을 진행한다. 측정방법 포트 1 → 포트 2 : 삽입 손실(Insertion Loss) 1) 써큘레이터 3번 포트에 50옴 종단 저항을 연결한다. 2) 네..
2022.11.11 -
RF 리미터란? LM202402 - Datasheet읽기
리미터란? RF 리미터(limiter)는 과도한 전력이 입력될 때 피크 값을 막음으로써 수신단을 보호하는 소자입니다. RF 리미터는 허용범위 내에 전력은 통과시키지만 임계값 이상의 신호는 감쇄시켜서 통과시킵니다. PIN 다이오드와 Limit다이오드의 조합으로 클램핑 효과를 적용시키는 소자입니다. 주로 수신단 LNA 앞에 배치됩니다. LM202402-Q-x-301Datasheet를 보면서 리미터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파라미터 Freq: 작동하는 주파수 영역, 해당 주파수 이외에는 리미터 효과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Insertion Loss: 입력 신호가 임계값 아래일 때, 낮은 손실로 통과하는데 이 손실을 리미터의 삽입 손실이라고 합니다. Flat Leakage Power: 리미터에서 ..
2022.01.13 -
NPN트랜지스터란? KTC3875(NPN-Transistor)의 활용 예시
이번 시간에는 트랜지스터의 역할과 실제 회로에서 기능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TC3875라는 소자를 기준으로 알아볼 건데 데이터 시트와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트랜지스터란? 아래 그림에서 처럼 Emitter(E), Collector(C), Base(B)라 불리는 세 개의 발이 있습니다. Base에 신호를 주면 스위치가 ON 되는 기능입니다.(여기서 스위치란 C와 E사이가 short 됨을 말합니다.) 전류의 흐름을 증폭, 스위칭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BJT 트랜지스터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화살표 방향은 전류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전류의 방향이 C에서 E로 간다는 것과 GND로 가는 electric current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RF에서 증폭은 AMP로 하기 때문에 TR의 ..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