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band(FDD, TDD) 종류와 구성
2020. 11. 23. 13:43ㆍ직무지식/RF통신
반응형
각 국가별로 할당된 다양한 LTE 주파수 대역이 있습니다.
국가마다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의 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주파수 대역마다 번호가 할당되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FDD와 TDD별로 할당된 주파수 중 미국에서 지정한 밴드의 종류를 정리해보겠습니다.
FDD LTE 주파수 밴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 신호 전송을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Uplink, Downlink)을 할당하고, 일정 보호대역(Guard Band)에 의해 구분시킨 한 쌍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이중화 방식

반응형
LTE Band Number | Uplink Band (MHz) | Downlink Band (MHz) | Band Width (MHz) | Duplex Spacing (MHz) | Band Gap (MHz) |
LTE Band 1 | 1920 - 1980 | 2110 - 2170 | 60 MHz | 190 MHz | 130 MHz |
LTE Band 2 | 1850 - 1910 | 1930 - 1990 | 60 MHz | 80 MHz | 20 MHz |
LTE Band 3 | 1710 - 1785 | 1805 - 1880 | 75 MHz | 95 MHz | 20 MHz |
LTE Band 4 | 1710 - 1755 | 2110 - 2155 | 45 MHz | 400 MHz | 355 MHz |
LTE Band 5 | 824 - 849 | 869 - 894 | 25 MHz | 45 MHz | 20 MHz |
LTE Band 6 | 830 - 840 | 875 - 885 | 10 MHz | 35 MHz | 25 MHz |
LTE Band 7 | 2500 - 2570 | 2620 - 2690 | 70 MHz | 120 MHz | 50 MHz |
LTE Band 8 | 880 - 915 | 925 - 960 | 35 MHz | 45 MHz | 10 MHz |
LTE Band 9 | 1749.9 - 1784.9 | 1844.9 - 1879.9 | 35 MHz | 95 MHz | 60 MHz |
LTE Band 10 | 1710 - 1770 | 2110 - 2170 | 60 MHz | 400 MHz | 340 MHz |
LTE Band 11 | 1427.9 - 1452.9 | 1475.9 - 1500.9 | 20 MHz | 48 MHz | 28 MHz |
LTE Band 12 | 698 - 716 | 728 - 746 | 18 MHz | 30 MHz | 12 MHz |
LTE Band 13 | 777 - 787 | 746 - 756 | 10 MHz | -31 MHz | 41 MHz |
LTE Band 14 | 788 - 798 | 758 - 768 | 10 MHz | -30 MHz | 40 MHz |
LTE Band 15 | 1900 - 1920 | 2600 - 2620 | 20 MHz | 700 MHz | 680 MHz |
LTE Band 16 | 2010 - 2025 | 2585 - 2600 | 15 MHz | 575 MHz | 560 MHz |
LTE Band 17 | 704 - 716 | 734 - 746 | 12 MHz | 30 MHz | 18 MHz |
LTE Band 18 | 815 - 830 | 860 - 875 | 15 MHz | 45 MHz | 30 MHz |
LTE Band 19 | 830 - 845 | 875 - 890 | 15 MHz | 45 MHz | 30 MHz |
LTE Band 20 | 832 - 862 | 791 - 821 | 30 MHz | -41 MHz | 71 MHz |
LTE Band 21 | 1447.9 - 1462.9 | 1495.5 - 1510.9 | 15 MHz | 48 MHz | 33 MHz |
LTE Band 22 | 3410 - 3500 | 3510 - 3600 | 90 MHz | 100 MHz | 10 MHz MHz |
LTE Band 23 | 2000 - 2020 | 2180 - 2200 | 20 MHz | 180 MHz | 160 MHz |
LTE Band 24 | 1625.5 - 1660.5 | 1525 - 1559 | 34 MHz | -101.5 MHz | 135.5 MHz |
LTE Band 25 | 1850 - 1915 | 1930 - 1995 | 65 MHz | 80 MHz | 15 MHz |
LTE Band 26 | 814 - 849 | 859 - 894 | 30 / 40 MHz | 10 MHz | |
LTE Band 27 | 807 - 824 | 852 - 869 | 17 MHz | 45 MHz | 28 MHz |
LTE Band 28 | 703 - 748 | 758 - 803 | 45 MHz | 55 MHz | 10 MHz |
LTE Band 29 | n/a | 717 -728 | 11 MHz | ||
LTE Band 30 | 2305 - 2315 | 2350 - 2360 | 10 MHz | 45 MHz | 35 MHz |
LTE Band 31 | 452.5 - 457.5 | 462.5 - 467.5 | 5 MHz | 10 MHz | 5 MHz |
TDD LTE 주파수 밴드
TDD(Time Division Duplexing) - 상향(Uplink)/하향(Downlink) 각각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FDD 방식과는 달리, 상/하향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나, 시간 교대 양방향으로 또는 사용자별 시간대를 달리하여 전송하는 방식

LTE Band Number | Frequency | Bandwidth (MHz) |
LTE Band 33 | 1900 - 1920 MHz | 20 MHz |
LTE Band 34 | 2010 - 2025 MHz | 15 MHz |
LTE Band 35 | 1850 - 1910 MHz | 60 MHz |
LTE Band 36 | 1930 - 1990 MHz | 60 MHz |
LTE Band 37 | 1910 - 1930 MHz | 20 MHz |
LTE Band 38 | 2570 - 2620 MHz | 50 MHz |
LTE Band 39 | 1880 - 1920 MHz | 40 MHz |
LTE Band 40 | 2300 - 2400 MHz | 100 MHz |
LTE Band 41 | 2496 - 2690 MHz | 194 MHz |
LTE Band 42 | 3400 - 3600 MHz | 200 MHz |
LTE Band 43 | 3600 - 3800 MHz | 200 MHz |
LTE Band 44 | 703 - 803 MHz | 100 MHz |
FDD와 TDD의 특징
FDD방식 | TDD방식 |
1.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활용 2. 간섭제거를 위한 Guard Band가 필요 3. 음성통화와 같은 대칭적인 데이터 전송에 용이 4. 2G, 3G 등의 대부분의 음성위주의 이동통신에 사용 5. CDMA, GSM, PCS, WCDMA 등 |
1. 상향과 하향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간을 나누어 사용 2. 간섭제거를 위한 Guard Time 필요 3. 주파수 사용효율이 높음 4. 인터넷과 같은 비대칭 데이터 전송에 용이 5. 데이터 전송서비스에 많이 채택 6. Wi-Fi, WiMax, Wibro 등 |
[참고] 위키피디아
매일 1을 쌓아가는 삶으로 복리 성장의 기적을 만들어봅시다.
- RF열정무한-
반응형
'직무지식 > RF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란 (0) | 2021.01.11 |
---|---|
중계기 거리에 따른 BER과 통신 가능 거리 분석 (0) | 2020.12.03 |
OFDM이란? Guard Interval과 CP의 관계 (0) | 2020.11.19 |
OFDM이란? - FFT(고속 퓨리에 변환) (0) | 2020.11.19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란?? (2)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