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5)
-
이동통신용 중계기란 무엇인가?
RF설계직은 무선통신을 다루다 보니 통신장비를 다루는 곳이 많습니다. 그리고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 중계기를 취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중계기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중계기란? 중계기란 전파가 잘 도달하지 않는 건물 안, 지하, 터널 등의 음영지역에 기지국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기지국의 신호를 음영지역으로 증폭하고 재 전송하여 커버리지 확장과 음영지역 해소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위 설명으로 대략적으로는 이해가 되지만 명확하게 이해가 되지는 않죠? 그래서 이해가 쉽게 그림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그림에 기지국이 있고 노란색 범위가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 커버리지입니다. 분홍색 단말기(휴대폰)는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있기 때문에 통신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서 분홍색..
2020.08.10 -
회로도에서 TBD, NC의 뜻은?
RF 회로를 다루려면 회로설계 Tool을 다뤄야 합니다. OR-CAD와 PADS를 회사에서는 많이 사용하죠. 우리 회사에서는 PAD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PADS사용 방법과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회로 tool을 보면서 회로를 해석하다 보면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값에 특정 수치가 적힌 게 아니라 TBD라고 되어 있는 경우가 가끔 보입니다. TBD의 의미가 무엇인지 몰라서 당황했었는데요. 사수한테 물어보고 나서야 의미를 알았습니다. 분명 저 말고도 모르는 사람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회로 사용 시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리해봤습니다. 1. TBD뜻 TBD는 To Be Determined 줄임말로 '곧 결정됨 또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는..
2020.08.10 -
[RF기초-1탄] 고주파와 저주파의 차이는?
RF 회로를 이해하고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회로이론과 전자회로이론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RF자체가 '무선'을 다루고 있고 실무에서 고주파 하드웨어 설계를 주로 하겠죠. 그렇다면, 고주파의 기준이 뭘까요? 일반적으로 300 MHz를 기준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나눕니다. 300 MHz 이하는 저주파, 이상은 고주파입니다. 300 MHz는 파장이 1m가 되는 지점이죠. 하드웨어 회로에서 나타나는 고주파의 특징이 일반 회로에서와 다른데 이번 시간에는 RF 회로에서의 고주파와 저주파의 특징과 구분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파수(frequency)란? 의미: 진동하는 물체가 단위 시간 동안 진동하는 횟수 단위: Hz(헤르츠) 1Hz는 1초 동안 물체가 1번 진동할 때를 의미한다. 1초에 1번 ..
202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