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5)
-
통신장비 회사에 대한 고찰(with. 근황공유)
안녕하십니까. rf스터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rf열무입니다. 현재 저의 상황과 블로그 운영 방향에 대해 고민한 내용을 나누기 위해 글을 씁니다. 관심 없는 분들이 대부분이겠지만...(ㅋㅋㅋㅋ) 개인 기록용이라고 생각하고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 대학 시절 관련 전공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통신장비 회사에 운 좋게(?) 입사하고 rf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했던 저는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 해왔습니다. 최근에 rf관련 포스팅 내용이 많이 줄었는데 이는 제가 다른 회사에 이직을 하게 되면서 적응할 시간이 필요했고 포스팅 방향성도 바뀌게 될 것 같아서 일단은 포스팅을 멈춘 상태입니다. 제가 이직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통신장비 회사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느껴졌기 때문....입니..
2021.07.13 -
신호처리 과정에서 DAC 출력단과 IQ모듈레이션
변조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과 IQ모듈레이션 방법에 대한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신호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ADC -> FPGA -> DAC 과정이 있습니다. ADC와 FPGA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을 통해 설명하고 넘어갈게요. 2021.06.02 - [직무지식/RF통신] - DSP 구조와 역할 1. DAC FPGA에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는 DAC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이 됩니다. 이때, 변환된 신호를 IQ변조를 하기 위해 IQ 모듈레이터를 통과시키게 되는데 그래서 DAC 출력은 I성분 출력과 Q성분 출력이 있습니다. DAC 출력 출력 핀 4개 IOUTA1 IOUTA2 -> LPF를 지나 IP, IN 핀으로 입력됨 IOUTB1 IOUTB2 -> LPF를 지나 QP, Q..
2021.07.07 -
[책 리뷰] 부의 재편
1부 변곡점에 선 시대, 미래를 선점하라 1장 부를 재편하는 경제구조 2장 코로나 이후의 경제 트렌드 10가지 자본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미국 중국의 패권 싸움에 대한 고찰 등으로 현재 글로벌 시대 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 인구 감소와 그에 따른 큰 시장 흐름, 양극화, 공유경제와 플랫폼 경제 등의 상황에 대한 맥락을 짚었다. 특히 국민연금 감소와 고령화 사회로 인해서 대한민국이 맞이할 암울한 미래와 그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노후 대비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인상 깊었다. 90년대 생들에게 다가올 암울한 미래.... 나도 포함되기 때문에 준비해야만 한다. 하지만 집값에 대한 부분은 나와 생각이 달랐다. 곧 집값이 내리거나 조정받을 거라는 말을 하던데, 나는 그것이 특정 지역(지방, 메리트..
2021.07.05 -
DSP 구조와 역할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 전반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아날로그 -> 디지털)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대수적인 연산을 해서 필터링이나 스펙트럼 분석 등의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실시간으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서 거의 모든 송, 수신기 및 중계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ADC → FPGA → DAC 위와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1. ADC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는 말 그대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는 IC입니다. 이때 송신 출력뿐만 아니라 전압, 전류, 온도와 같은 다양한 신호들도 넣어..
2021.06.02 -
ALC 또는 AGC란 무엇인가? 2편 - 작동방법
ALC에 대해서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전 글을 읽고 오시면 이번 포스팅을 이해하기 좀 더 수월합니다. 2020.09.01 - [직무지식/용어정리] - ALC 또는 AGC란 무엇인가? ALC 작동 방법 ALC를 설계하는데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IC는 Variable Attenuator와 Variable Gain Amp가 있습니다. 예시로 Variable Att은 PE시리즈(pe4312등)가 있고 Variable Gain Amp는 Berex에 BVA시리즈(BVA303등)가 있습니다. 입력 신호가 변하는 것에 맞춰서 ATT(또는 GAIN)을 가변 하면서 출력 LEVEL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죠. ALC가 작동이 되려면 증폭된 신호가 허용 출력 범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2021.03.18 -
pi-pad 사용법과 pad표(감쇠표)
50옴 매칭된 π-pad는 rf 회로에서 레벨 조정 역할을 하는 감쇠기(Attenuator)입니다. 1. pad표 ATT(dB) R1(Ω) R2(Ω) 1 5.6 910 2 12 430 3 18 300 4 24 220 5 30 180 6 36 150 7 43 130 8 51 120 9 62 100 10 75 100 11 82 82 12 100 82 13 110 82 14 110 68 15 130 68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한 값을 각각 reference 값으로 매칭시킨 표입니다. 급할 때 편하게 쓰려고 만들어 둔 건데 편하더라고요. 2. 사용 예시 사용 예시1 AMP를 사용했는데 출력이 높아서 AMP가 Saturation 된다면 (그래도 출력 마진이 남을 때는) 입력 신호를 낮추기 위해서 AMP 앞단에 ..
202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