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5)
-
무선 중계기의 역할과 기능 - ALC, Channel Balancing
1. 중계기의 역할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무선구간에서 Path Loss를 보상해서 더 먼 거리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장비입니다. 2. 중계기의 기능 1) ALC(Auto Level Control) air 상에서 Path Loss 차이는 거리 2배마다 6dB 차이가 납니다. 예를 들어 100M 덜어진 곳에서 2배 멀어지면 200M가 되죠 그사이 Path Loss는 6dB 400M 떨어지면 12dB 이런 식으로 가까운 거리부터 먼 거리로 6dB마다 2배, 4배, 8배, 16배 떨어져 있는 겁니다. ALC(Auto Level Control)는 ±15dB라고 했을 때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진 정격 입력 레벨의 위치를 기준으로 중계기 설치 위치에 따른 Path Loss를 중계기 Gain을 조정해서 동일하..
2021.01.28 -
LTE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란
LTE 프레임 구조 TYPE LTE 표준에는 Type 1과 Type 2의 두 가지 유형의 프레임 구조가 있습니다. Type 1, used FDD(업링크와 다운링크가 주파수 기준으로 분리됨) Type 2, used TDD(업링크와 다운링크가 시간 기준으로 분리됨) 정보 전송 단위 LTE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6개의 시간 단위입니다. Time Unit Value Frame 10 ms Half-frame 5 ms Subframe 1 ms Symbol (0.5 ms) / 7 for normal CP (0.5 ms) / 6 for extended CP Ts 1/(15000*2048) sec ≒ 32.6 ns LTE FDD Frame Type 1 FDD 모드에서 uplink와 downlink 프레임은 모두 10m..
2021.01.11 -
스펙트럼분석기에서 CCDF란?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상보적 누적 분포) CCDF곡선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 CDMAone신호를 예로 들겠습니다. 아래 그림 1은 신호의 전력 대 시간 그래프입니다. 표시된 파형의 각 라인 1,2,3은 평균보다 높은 특정 전력 레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형태의 신호는 불규칙하기 때문에 정량화하기 어렵습니다. 해당 신호가 좋은 신호인지 아닌지 위 그래프만 보고는 이해하기 힘들죠. 여기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려면 이 신호의 전력 수준에 대한 통계 설명이 필요한데요. 그래서 나온 것이 CCDF곡선입니다. CCDF곡선은 상대 전력 레벨 대 확률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그림 2가 CCDF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Y축이 나타내는 말이 이해..
2021.01.05 -
아두이노 입문하기 6 - 스케치 시리얼 통신
해당 포스팅은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케치 시리얼통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리얼통신 직렬 통신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송 라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법으로, 한 번에 한 비트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주고받습니다. [!] RX→0 TX→1 (실제로 시리얼 통신을 사용 중일 때는 아두이노에서 0번 핀과 1번 핀을 디지털 핀으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Serial 모니터 [1] Serial begin (통신 속도) - 주로 9600 bps - 단위 : bps(bit per second) [2] Serial print / Serial ..
2020.12.24 -
아두이노 입문하기 5 - 스케치 함수 구조와 예제
제가 이전에 교육하기 위해 정리했던 아두이노 관련 교육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공부하는 초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케치 구조와 예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치 기본구조 #define : 메모리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상수 #include : 외부라이브러리를 포함 시킬 때 사용 // : 해당 라인을 주석처리. /* */ : 해당 범위를 주석처리. ;(세미콜론) : 명령문을 끝낼 때 사용. { } : 함수, 루프, 조건문의 시작과 끝을 나타냄. 함수 구조 1. for 구조 예시 시리얼 프린트 창을 확인해 보면 i가 1, 2, 3, 4, 5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리얼통신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2020/12/2..
2020.12.24 -
RF-Tool 사이트를 활용하여 LC Filter 튜닝하기
2020/09/03 - [직무지식/중계기] - [중계기 구성] Filter란? - 1 BPF, HPF, LPF, BSF에 대해 2020/09/08 - [직무지식/용어정리] - RF필터 용어 설명(삽입손실, Skirt 특성 등) 윗글에 대한 내용을 숙지하면 이번 포스팅 내용을 이해하기 더 쉽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rf-tool 사이트를 활용하여 LC 필터를 튜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자주 이용하는 RF 관련 사이트입니다. LC 필터 수치나 VSWR 등 다양한 계산식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rf-tools.com/ RF Tools | Calculators and applications for RF analysis and synthesis Calculators and applications for ..
20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