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5)
-
NPN트랜지스터란? KTC3875(NPN-Transistor)의 활용 예시
이번 시간에는 트랜지스터의 역할과 실제 회로에서 기능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TC3875라는 소자를 기준으로 알아볼 건데 데이터 시트와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트랜지스터란? 아래 그림에서 처럼 Emitter(E), Collector(C), Base(B)라 불리는 세 개의 발이 있습니다. Base에 신호를 주면 스위치가 ON 되는 기능입니다.(여기서 스위치란 C와 E사이가 short 됨을 말합니다.) 전류의 흐름을 증폭, 스위칭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BJT 트랜지스터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화살표 방향은 전류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전류의 방향이 C에서 E로 간다는 것과 GND로 가는 electric current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RF에서 증폭은 AMP로 하기 때문에 TR의 ..
2020.10.29 -
부평 3층 카페 루틴 ROUTINE247, 쉐이크
오랜만에 부평에서 데이트를 했는데요, 제가 1주일 전부터 노래를 부르던 BHC의 뿌링클 치킨을 먹었습니다. 그다음 카페를 갔는데 체인점도 아닌 것이 은근히 규모도 있고 괜찮아서 소개해드립니다. 바로 카페 루틴이라는 곳입니다. 인천 부평구 시장로 20 2, 3층 032-330-5666 10시부터 새벽 3시까지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카페더라고요 롭스 건물 위 2, 3층이고요. 루프탑도 있습니다. 올라가는 길 곳곳에 저런 이미지들이 있고 나름 포토존도 있더군요. 우리는 피곤해서 그냥 바로 자리 잡으러...... 좀비 직장인들입니다ㅜㅜ 은근히 넓고 프랜차이즈 같이 공간이 잘되어 있는 점이 마음에 들었어요. 그리고 3층으로 올라가자마자 보이는 약간 격리된 자리가 있는데 다른 사람들 눈치 안 보고 편하게 자리 잡을 ..
2020.10.28 -
RF시스템에서 MIXER(믹서)란?
이번 시간은 믹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할 믹서 파트 블록도는 아래에 있습니다. MIXER란? 믹서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이들을 곱하거나 합성하여 새로운 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입니다. 주로 주파수 변환, 신호 합성 및 복조 등의 작업에 사용되며, 무선 통신 시스템, 레이더 시스템,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물질의 비 선형성을 이용하여 입력된 두 주파수(f1, f2)의 합(f1+f2)과 차(f1-f2)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로, 헤테로다인 시스템에서 반송파(Carrier) 신호를 처리하기 쉬운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비선형 소자의 특성으로 인해 생기는 IMD 성분중 2승..
2020.10.19 -
[책 리뷰] 함께 자라기_애자일로 가는 길
[책 리뷰] 함께 자라기_애자일로 가는 길 자라기 1. 학습에는 학교학습과 야생 학습이 존재한다. 학교학습 vs 야생학습 1 대부분 개별적이다. 대부분 협력적이다. 2 대부분 공부 순서가 정해져 있다. 대부분 비순차적이다. 3 교재, 시험범위 등이 정해져 있다. 자료에 한정이 없다. 4 시험이라는 명확한 평가기준이 있다. 명확한 평가가 없다. 5 무엇이 정답인지 명확하다. 대부분 정답이 없다. 6 합격, 자격증 같은 목표가 분명하다. 목표가 불분명하고 바뀌기도 한다. 우리는 졸업할 때 까지 학교 학습을 하지만 실제 사회에서는 야생 학습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저자는 학교학습의 내용을 야생 학습 생태계에서 적용하려니 문제가 생긴다고 합니다. 저만해도 학교에서 배웠던 것들중 많은 내용이 실무에서는 무의미했..
2020.10.14 -
위상 잡음(Phase Noise)과 위상 지터(Phase Jitter)란?
PLL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Phase Noise입니다. PLL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면 이전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0/10/13 - [분류 전체보기] - [중계기 구성] PLL(Phase Locked Loop)이란? 이번 시간에는 Phase Noise가 무엇이며 왜 PLL에서 중요한 지표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상 잡음(Phase Noise)이란?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위상 잡음은 위상 지터의 결과로 신호의 양쪽으로 퍼져 나가는 노이즈 스펙트럼입니다. PLL에서 중요한 지표라고 했는데요. PLL의 기능이 일정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일이죠. 그럼 이러한 모듈의 성능을 무엇으로 판단할 수 있을까요? '일정한 주파수를 얼마나 잘 만드는지'가 PLL(을 포함한 ..
2020.10.14 -
PLL(Phase Locked Loop)이란?
중계기 블록도에서 가장 중간에 자리 잡고 있는 녀석이 있습니다. 이 녀석 이름이 바로 PLL입니다. 2020/08/27 - [직무지식/중계기] - RF중계기 블록도 이번 시간에는 PLL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LL이란? PLL(Phase Locked Loop; 위상 고정 루프)이란 기준 주파수를 통해서 주기적 신호의 위상을 원하는 대로, 흔들리지 않는 정확한 주파수로 고정시켜 주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입니다. 즉, 일정한 주파수로 유지시켜 주는 회로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중계기에서는 Mixer와 함께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데 쓰입니다. PLL 구성 온도보상 수정발진기(TCXO): 온도변화에 대해 흔들림 없이 매우 안정적인 주파수를 출력하는 크리스털 오실레이터를 사용하며, 출력..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