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지식(62)
-
스펙트럼분석기에서 CCDF란?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상보적 누적 분포) CCDF곡선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 CDMAone신호를 예로 들겠습니다. 아래 그림 1은 신호의 전력 대 시간 그래프입니다. 표시된 파형의 각 라인 1,2,3은 평균보다 높은 특정 전력 레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형태의 신호는 불규칙하기 때문에 정량화하기 어렵습니다. 해당 신호가 좋은 신호인지 아닌지 위 그래프만 보고는 이해하기 힘들죠. 여기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려면 이 신호의 전력 수준에 대한 통계 설명이 필요한데요. 그래서 나온 것이 CCDF곡선입니다. CCDF곡선은 상대 전력 레벨 대 확률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그림 2가 CCDF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Y축이 나타내는 말이 이해..
2021.01.05 -
중계기 거리에 따른 BER과 통신 가능 거리 분석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비트 오류율) - 수신된 비트의 수에 대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 수를 말합니다. 자유공간 손실에 의한 SNR열화 그래프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같은 송신기에서 증폭되어 고출력으로 송신된 신호와 잡음레벨은 A지점부터 자유공간 손실에 의해 감쇄를 겪으며 전파되게 됩니다. A지점부터 B지점까지는 신호와 잡음레벨이 같이 감쇄되어 신호대 잡음비의 열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B지점부터는 신호레벨은 감쇄가 계속 일어나는 반면 잡음레벨은 이미 기저 레벨에 도달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감쇄가 일어나지 못하여 신호대 잡음비의 열화가 시작되고 결국 복조가 가능한 최소 신호대잡음비보다 낮아지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것을 수신신호에 대한 전송 손실률(BER)로 나타낸 그래..
2020.12.03 -
LTE band(FDD, TDD) 종류와 구성
각 국가별로 할당된 다양한 LTE 주파수 대역이 있습니다. 국가마다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의 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주파수 대역마다 번호가 할당되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FDD와 TDD별로 할당된 주파수 중 미국에서 지정한 밴드의 종류를 정리해보겠습니다. FDD LTE 주파수 밴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 신호 전송을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Uplink, Downlink)을 할당하고, 일정 보호대역(Guard Band)에 의해 구분시킨 한 쌍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이중화 방식 LTE Band Number Uplink Band (MHz) Downlink Band (MHz) Band Width (MHz) Duplex Spacing (MHz) Band Gap (..
2020.11.23 -
OFDM이란? Guard Interval과 CP의 관계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좀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2020/09/29 - [직무지식/RF통신]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란?? 2020/11/19 - [직무지식/RF통신] - OFDM이란? - FFT(고속 퓨리에 변환) 이번 시간에는 Guard Interval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OFDM에서의 ISI와 ICI 문제점 아무리 저속으로 병렬전송하더라도 약간의 반사파 문제가 존재합니다. ※ ISI(Inter Symbol Interference) - delay spread 신호에 의하여 심볼의 앞부분이 앞 심볼과 겹치어 ISI가 발생합니다. 2020/09/16 - [직무지식/RF통신] - 페이딩 현상(Fading), 도플러 효과 참고 인..
2020.11.19 -
OFDM이란? - FFT(고속 퓨리에 변환)
OFDM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다 보니 Orthogonal과 더불어 중요한 내용들이 있어서 추가 적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전 내용과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아요. 2020/09/29 - [직무지식/RF통신]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란?? 이번에는 고속퓨리에변환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FFT (Fast Fourier Transform; 고속 퓨리에 변환) Fourier Transform: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Time domain을 Frequency domain으로 변환 위 그림에서 맨앞에 붉은색 신호는 입력 신호이고 이것으로 퓨리에 변환을 하면 뒤에 파란색 신호가 됩니다. 파란색 신호들은 각각의 주파수와 강도를 가지고 있는 주기 함수..
2020.11.19 -
[업무일지]RS232 to LVTTL 변환하기(232핀맵)
모듈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모듈과 GUI를 연결해야 하는데 모듈은 TTL방식이고 노트북은RS232 통신이어서 변환 모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RS-232핀 맵 RS-232는 시리얼통신으로 주로 D-SUB 9핀 커넥터로 통신합니다. LVTTL Low Level Transistor Transistor의 줄임말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만든 디지털 로직 IC입니다. 대부분 +5V에서 작동 하지만 LVTTL은 3.3V에서 작동합니다. 핀 맵을 확인하고 GUI 커넥터는 연호 케이블이어서 D-SUB 9핀 커넥터 땜한 곳을 따서 연결했습니다. RX와 TX의 위치가 매칭이 되어야 통신이 되겠지요? 일단 GUI3핀에서 GND는 멀티미터로 확인을 했고 RX TX는 자리를 바꿔가며 통신이 되는지 확인을 했습니다. 결..
2020.11.18